국립 부경대학교

검색

커뮤니티

 

부경투데이

  • 국립 부경대학교의 다양한 모습과 소식을 접하시면 부경대학교가 한번 더 가까워집니다.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국제신문이 본 부경대학교!(PKNU, from the Kookje Daily News' view)
작성자 대외협력과 작성일 2019-06-12
조회수 481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국제신문이 본 부경대학교!(PKNU, from the Kookje Daily News' view)
대외협력과 2019-06-12 481



△ 김문기 교수의 인터뷰 기사가 게재된 신문 지면. ⓒ사진 이성재(홍보팀)

12일 아침, 국제신문 22면은 오롯이 부경대학교 김문기 교수(사학과)를 위한 공간이었다.

최근 김 교수가 펴낸 책 ‘바다 물고기 지식-근세 동아시아의 어류박물학’(한국학술정보 刊)이 국제신문에 전면 인터뷰 형식으로 크게 소개됐다.

역사학자이자 박물학자인 김 교수의 책이 ‘조봉권의 문화현장’이라는 기획시리즈의 55번째 이야기 소재로 채택된 것. 

이런 식의 책 소개는 파격이다. 어떤 책일까?

이 기사는 “김문기 교수가 청어 대구 명태에 관해, 한국만의 관점을 넘어 동아시아 관점에서 비교하고 연구하면서 처음으로 정리했다.”면서 ‘청어 대구 명태’에 대한 김 교수의 연구에 주목한다.

한국 중국 일본, 동아시아 세 나라가 공유한 중요한 물고기인 ‘청어’ ‘대구’ ‘명태’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어떤 명칭으로 불렸을까?
 
이 기사는 김 교수의 연구 내용을 인용해 “한류성 어류인 청어(靑魚) 대구(大口) 명태(明太)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우리 물고기’로 이들의 이름 자체가 우리나라에서 붙인 것이다. 한·중·일에는 이들 셋을 칭하는 자국어 이름이 나름대로 각각 있었다.”면서, “그런데 대략 18세기를 앞뒤로 해서 흥미로운 현상이 생긴다. 한국식(조선식) 이름인 청어 대구 명태가 동아시아 세 나라에서 일종의 ‘표준’ 비슷한 지위를 한동안 갖는,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소개했다.

기사에 소개된 김 교수 연구에 따르면, 일본은 일본어에서 청어를 뜻했던 한자어(鰊(연), 鯡(비))를 버리고 동의보감과 조선통신사의 영향으로 조선식 이름인 청어를 채택했다.

이 기사는 “김 교수가 촘촘하게 정리해 놓은 표를 보면 1709년 이후 100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일본의 서적에서는 조선식 이름 ‘청어’가 정식 명칭으로 등장한다.”고 말했다.

대구(大口)는 일본에서 어떻게 불렸을까? 일본은 일본식 명칭인 ‘타라’ ‘설어(鱈魚)’ ‘설(鱈)’이 있음에도 조선식 한자인 화어(夻魚), 대구어(大口魚)를 공식명칭으로 썼다. 중국에서는 명태(明太)를 지금도 ‘밍타이위(明太魚)’라 하고 러시아에서는 ‘민타이’라 부른다고 한다. 명란젓의 뜻하는 일본어 ‘멘타이코(明太子)’에 우리의 명태가 그대로 남아 있다는 발견도 흥미롭다.

기사는 “조선의 물고기로만 알았던 청어 대구 명태는 어느 순간 동아시아 차원의 중요한 물고기로 떠올랐음이 확인된다.” “중국식 한자 어명(魚名)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던 동아시아에서 조선 고유의 물고기 이름이 중국과 일본에 영향을 끼쳤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기사는 “김문기 교수의 첫 단독 저서인 ‘바다 물고기 지식’은 단지 한국만의 관점이 아니라 동아시아 차원의 관점에서 한·중·일의 어류박물학을 비교 연구했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하게 다가온다. 이런 시도는 그간 접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 기사는 “김문기 교수는 ‘바다 물고기 지식’에서 ‘자산어보’를 비롯해 한·중·일 동아시아 세 나라 어보(魚譜·수산 생물 전문서)의 역사를 비교 연구했다. 이런 시도 또한 학계에서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동아시아 최초의 어보는 중국의 ‘민중해착소’(도본준 저술·1596년), 일본 최초의 어보는 ‘일동어보’(간다 겐센 저술·1719년), 한국 최초의 어보 ‘우해이어보’(김려 저술·1803년)라고 한다. ‘자산어보’는 1814년 완성된다.

‘자산어보’의 의의를 아시아 최초의 수산 생물전문서라는 일부의 평가에 대해, 김 교수는 이 기사에서 ‘한국 학계에서 중국의 일본의 현황을 잘 몰랐기 때문에 생긴 오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김 교수는 더욱 ‘무서운’ 발견도 했다.”면서, “일본의 경우, 최초의 어보인 간다 겐센의 ‘일동어보’(1719년)부터가 그림이 들어간 어류도감이며 도보(圖譜)다. 일본의 어보는 그 뒤로 줄곧 그림을 극히 중시한다. 그림 수준은 ‘무시무시한’ 수준으로 발전한다. 중국과도 달리, 조선은 어떤 어보에도 그림이 없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 인터뷰에서 이번에 낸 책 ‘바다 물고기 지식’을 필두로 ‘어류의 탄생’ ‘어보와 어도’ ‘해산과 제국’ ‘남획과 공생’ 등 어류박물학 4부작을 “평생 걸쳐 써야할 것 같다.”고 밝혔다.<부경투데이>

▷ 기사 전문 읽기 “클릭!!”

'A professor hooked into unfamiliar natural history of fishes' ... 'Attention' to professor Kim Moon-kee's unique, extraordinary research
Interviewed with professor Kim Moon-kee of PKNU on December 12 by the Kookje Daily News

On the morning of the 12th, the 22nd page of the Kookje Daily was a space for Professor Kim Moon-kee of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Professor Kim's book, 'Drawings of Fishes and Ichthyological Knowledge in Early Modern East Asia: With Focus on the Shijing and Shanhaijing' (Korean Studies Information Publication) was introduced in the Kookje Daily News as a full interview.

The book of the historian and naturalist Kim was adopted as the 55th story of the series of the project called 'The Cultural field of Jo Bong-gwon'

The introduction of this type of book is exceptional. What kind of book is it?

"Professor Kim Moon-kee made the first compilation of the Pacific Herring,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comparing and studying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East Asia beyond Korea's point of view.", this article focuses on Professor Kim 's research on' Pacific Herring,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What are the names of the fish that are important fishes shared by Korea China Japan, the three East Asian nations such as 'Pacific Herring',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in China and Japan?

This article quotes Professor Kim's research as saying, "Pacific Herring (靑魚), Pacific Cod (大口) and Walleye Pollock (明太) are cold water fishes that are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names themselves are added in Korea. In Korea, China, and Japan, there were names of their native languages, each of which called them three." and introduced, "However, an interesting phenomenon occurs around the 18th century. Pacific Herring,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the Korean name (Joseon-style), exerts a strong influence over a period of time, similar to a 'standard'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Professor Kim 's stud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article, Japan abandoned the Chinese characters (鰊, 鯡), which means "herring" in Japanese, and adopted the name of Joseon, under the influence of Do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and Joseon Tongsinsa (Korean missions to Japan).

The article introduced, "In the book which Professor Kim arranged closely, the Joseon style name 'Cheong-o (Herring)' appears as a formal name in Japanese books for over 100 years after 1709."

How was Pacific Cod(大口) called in Japan? Although they have Japanese names such as 'タラ', '鱈魚', and '鱈', it was written in Joseon style, 夻魚 and 大口魚. In China, 明太 is still called 'mingtaiwi (明太魚)', and in Russia it is called 'mingtai (минтай)'.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Joseon style name 'pollock' remains in the Japanese "Mentaiko (明太子)", meaning salted pollack roe.

The article gave meaning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Pacific Herring,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which were known only as the fishes of Joseon, emerged as an important fishes of East Asia at any moment.", "In East Asia, where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 words (fish names) were absolute, the native fish names of Joseon influenced China and Japan."

The article highlighted, "Professor Kim Moon-kee's first book, 'Ichthyological Knowledge', comes not only from Korea's point of view,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East Asia as well and it comes very special in that it has studied comparative studies of natural history of fishes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kind of attempt was hard to experience so far."

In addition, this article explains, "Professor Kim Moon-kee has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history of 'an atlas of fish' (魚譜· a fisheries biology book) in 'Ichthyological knowledge' including 'Jasanobo (玆山魚譜)', in Korea, China, and Japan, East Asia. This is also the first time in academia."

According to the report, the first book of fish in East Asia was the 'Minzhong-Haicuoshu (閩中海錯疏)' by Tu Benjun 1596, Japan's book of fishes is Nitto-Gyofu (日東魚譜) written by Kanda Genshen in 1719, and the first Korean fish book, Woohaeri-Eobo (牛海異魚譜) compiled by Kim Ryo in 1803. 'Jasanobo (玆山魚譜)' was completed in 1814.

In this article, Professor Kim said, "The misunderstanding caused by the fact that Korean academic society did not know well the current state of China and Japan" for the evaluation of some of Asia's first fisheries biology.

According to the article, the significance of 'Jasanobo (玆山魚譜)' is said to be 'the first misunderstanding that occurred in Korea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China and Japan's current situation i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as part of the evaluation of Asia's first fisheries biology'.

The article said, "Professor Kim also made a 'scary' discovery.", and "In Japan, the first fish book, Kanda Genshen's ‘Nitto-Gyofu’ (1719), is an illustrated fish guide. In Japan, the first fish book, Kanda Genshen's ‘Nitto-Gyofu’ (1719), is a pictorial fish guide and a walk. Japanese picture books continue to emphasize paintings after that. The picture level evolves to the 'terrifying' level. Unlike China, Korean fish book does not have any paintings at all."

Professor Kim, in this interview, is likely to have to write a four-part series on fish naturalism such as 'Birth of Fish', 'fishery book and fisheries pictorial book', 'The marine products and Empire', 'Overfishing and Symbios' <Pukyong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