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란, 그때 그 사람들> 펴냈다(Unveiling inside history, <The 40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 |||
작성자 | 대외협력과 | 작성일 | 2022-01-18 |
조회수 | 431 |
<피란, 그때 그 사람들> 펴냈다(Unveiling inside history, <The 40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 |||||
대외협력과 | 2022-01-18 | 431 |
역사책 뒤에 숨겨진 피란민들의 삶, 70년 만에 ‘세상 밖으로’
- 부산시·부경대, 550쪽 피란민 구술채록집 <피란, 그때 그 사람들> 발간
△ 피란민 구술채록집 '피란, 그때 그 사람들' 표지 이미지.
“동광동 쪽에서 쭉 올라가면 마지막 계단 왼쪽으로 100m쯤 나가 하꼬방 집을 지었지. 원래는 공원이었는데 거기다 집을 짓는 거야. 그때 공원이고 뭐고 없어. 지금 현재 동상과 탑 있는 데는 해병대 부대가 있었어. 우리는 지을 데가 없어 가 제일 우에 바로 지금 공원 바닥인 바로 밑이야. 5m 밑일까? 그 밑에다 우리가 지었지. 거기서 산 거요. 집은 마분지하고 가마니하고가 재료야.”(김동주 씨·88세)
한국전쟁 피란민들의 증언을 직접 채록해 당시 피란수도 부산의 모습과 피란민들의 삶의 현장을 날 것 그대로 전해주는 책 <피란, 그때 그 사람들>이 발간돼 눈길을 끈다.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가 12월 발간한 이 책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는 피란수도 부산의 역사적·세계유산적 가치를 조망하기 위한 구술채록집이다.
이 책은 미군부대 노무자, 의사, 교사, 군악대원, 간호사, 위생병, 지게부대원, 포목점 주인, 경륜선수, 독립운동가 후손 등 모두 40명의 구술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3부 550쪽에 걸쳐 임시수도 부산에서의 피란생활에 대한 생생한 경험담을 싣고 있다.
부산시의 학술연구용역을 수행한 부경대는 채영희 학무부총장(국어국문학과 교수)을 책임연구원으로 ‘피란수도 구술 채록 사업단’을 꾸리고 지난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0개월여 간 모두 62명의 구술자를 직접 만나 채록하고, 이 중 40명의 증언을 책에 담았다.
1부는 함경도와 평안도, 황해도 출신 피란민의 피란 경험과 부산 정착 과정에 대한 24명의 기억, 2부는 부산과 인근 지역에서 이주해 온 13명의 당시 부산에 대한 기억, 3부는 중국에서 귀국한 독립운동가족과 일본 귀환 동포의 부산 정착과정에 대한 3명의 기억을 기록했다.
“참…우리가 짬빵이라는 게 있는데 그게 미군부대에서 먹다 남은 음식을 죽에 넣고 그랬다고. 그걸 전문적으로 갖고 나오는 사람이 있어. 그걸 가지고 나오면 건져서 죽을 끓여. 그거를 가져가서 한국 사람들이 먹더라 그러니까 그다음부터 절대 여기다가, 옛날에는 담배꽁초도 나오고 했는데, 절대 불순물을 안 넣는 거라. 안 넣고 거기다가 뭐를 넣냐면은 과일, 복숭아 이런 거 나오면 먹지도 않고 통째로 썰어서 넣는 거라. 먹으라고.”(권혁우 씨·78세)
특히 이 책은 1983년 4월 부산일보사가 임시수도 부산에서 빚어진 갖가지 사건을 기록한 <비화 임시수도 천일> 이후 발간된 보통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사업을 총괄한 채영희 교수는 “연세가 많은 구술자들의 증언을 기록하고 정리해야 해 다급하고 힘든 작업이었지만,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한 시대의 대서사가 드디어 퍼즐을 맞추듯 완성되는 것 같아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로 구술 채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구술자들의 가족과 부산시의 협조로 무사히 작업을 마칠 수 있었다. 한국전쟁과 같은 비극이 다지는 일어나질 않길, 수없이 희생된 젊은이들이 잊히지 않길 바라는 구술자들에게 이 책이 작은 위안이 되었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부경투데이>
The real hidden history of the refugees came out to the world for the first time in 70 years
- Busan government and PKNU co-published a 550-page record book of the war refugees <The 40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Straight up from Donggwang-dong and keep walking about 100 meters to the left at the top of the steps, refugees built up the shack-land. It used to be a park, but we had no choice but to build a shack there at that time. Where the statue and tower are now, there was a Marine Corps unit. We didn’t even have the land to build a shack, you see, it is at the top right now, right below the park, maybe 5 meters below? Under the park, we built a shack and lived there. The shack was made with straw bags and cardboard." (Kim Dong-Joo · Age 88)
The publication of <The 40 Korean War Refugees in Busan>, a book that directly records the testimonies of refugees of the Korean War and delivers the real-life scenes of the refugees and Busan, the capital of refugees at the time, i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This book, co-published in December by the Busan government (Mayor Park Heong-Joon)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is a collection of verbal evidence for a tim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and world heritage values of Busan, which was a refugee capital that is in the process of being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is book provides a vivid description of life experiences of the war refugees settled in Busan based on the oral testimonies of 40 people, including laborers, doctors, teachers, military band members, nurses, medics, Korea Service Corps (A-Frame Army), a linen shop owner, bicyclist, and descendants of activists, in three parts and 550 pag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hich carried out academic research services for the Bus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Verbal Recording Project Team on the Refugee Capital' with Chae Young-Hee, Vice-President for Academic Affairs (Professor,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lead researcher. In addition, the project team met and recorded a total of 62 verbal witnesses in person for about 20 months from May 2020 to December 2021, in which 40 of these testimonies were included in the book.
The memories of three people were recorded about the process of resettlement in Busan of the returning compatriots. Part 1 is the experiences of refugees from Hamgyeong-do, Pyeongan-do, and Hwanghae-do, and 24 people's memories of the process of settling in Busan. Part 2 is the memories of 13 people who immigrated from Busan and neighboring areas. Part 3 is a record of the memories of 3 people about the process of settling in Busan by the family of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returned from China and the compatriots who returned from Japan.
Well... "Well… We had something called Jjamppang, which means food leftovers from the US military base. There was a man who personally brought it out of the unit. When the man brought it, we took it out and boiled it to make porridge. The man told his unit that the Koreans ate the leftovers well, and thankfully the soldiers never put cigarette butts and dirt in the Jjamppang after that. Instead, they put fruit, like peaches, inside for us." (Kwon Hyeok-Woo · Age 78)
Especially, this book is of great value in that it is a vivid testimony of the public written after <Inside Story of a Thousand Days in the Provisional Capital>, which recorded various incidents that occurred in Busan, the provisional capital, by the Busan Ilbo in April 1983.
Professor Chae Young-Hee, who managed the project, said, "We were hard-pressed for time, and it was a difficult task to record and organize the testimonies of the elderly, but through their stories, the epic of an era was finally completed like a puzzle. I think it's worth it and I felt rewarded."
She added, "Although it was difficult to record oral records due to Corona, the work was completed safely with the cooperation of the verbal witness's families and the Busan government. I hope that this book will be a small comfort to the verbal witnesses who hope that a tragedy like the Korean War will not happen again and that the countless young people who were sacrificed are never forgotten." <Pukyong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