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돔' 학명 변경연구 최초로 밝혀(Korea's first attempt to change the scientific name of red sea bream) | |||
작성자 | 대외협력과 | 작성일 | 2023-07-06 |
조회수 | 675 |
'참돔' 학명 변경연구 최초로 밝혀(Korea's first attempt to change the scientific name of red sea bream) | |||||
대외협력과 | 2023-07-06 | 675 |
“참돔은 금색돔과 같은 속(屬), 학명 바꿔야”
- 부경대 배재경 연구원, 한국어류학회 학술대회 연구결과 발표
△ 국내 참돔(왼쪽)과 뉴질랜드 금색돔 이미지.
참돔과 금색돔은 같은 속(屬)으로, 참돔의 학명(Pagrus속)을 금색돔과 같은 학명(Chrysophrys속)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립부경대학교 해양생물학과 배재경 연구원(석사과정생)은 최근 서울 롯데월드 웰빙센터에서 열린 한국어류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해 우수논문 구두발표상을 받았다.
배재경 연구원은 이번 학술발표대회에서 도미(돔)와 어류의 분자계통 및 골학적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참돔의 학명을 ‘Pagrus major’에서 ‘Chrysophrys major’로 바꿔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내 최초로 밝혔다.
북서 태평양 참돔과 남서 태평양 금색돔은 형태와 유전정보가 매우 가까워 두 종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돼 왔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은 오랫동안 참돔의 학명을 ‘Pagrus major’로 사용해왔는데,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참돔과 유사한 금색돔의 학명을 ‘Pagrus auratus’로 사용해 오다 최근 이를 ‘Chrysophrys auratus’로 바꿔 쓰고 있다.
배 연구원은 이 같은 해외 연구 동향에 따라 참돔 또한 Pagrus속이 아닐 가능성에 주목했다. Pagrus속은 대서양, 지중해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기 때문.
배 연구원은 이번 연구에서 전 세계에 분포하는 Pagrus속, Chrysophrys속, Evynnis속의 분자 및 골격형질을 분석해 Pagrus속과 Chrysophrys속을 구분 짓는 골격형질을 발견하고, 참돔이 Pagrus속이 아닌 금색돔과 같은 Chrysophrys속에 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참돔과 금색돔이 같은 Chrysophrys속에 속하지만, 종을 구분 짓는 뚜렷한 분자식별키가 있어 각각 다른 종(major/auratus)이라는 결과도 밝혔다.
부경대 김진구 지도교수는 “과거 형태 중심의 분류체계가 최근 분자 중심의 분류체계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번에 밝힌 참돔의 속명 변경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해양어류 분류체계를 새롭게 재해석하는 의미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부경투데이>
"Since the red sea bream is the same genus as the golden sea bream, the scientific name should be changed"
- Bae Jae-Kyung, a researcher from PKNU, presented research results at an academic conference of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Red sea bream and golden sea bream belong to the same genus, 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cientific name of red sea bream (genus-pagrus) should be changed to the same scientific name as the golden sea bream (genus-chrysophrys).
Bae Jae-Kyung, a researcher (in master's program) at the department of marine biology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cently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at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held at the wellness center at Lotte world in Seoul, and received the Best oral presentation award.
At the conference, Ba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molecule methodology and osteological research of sea bream and fish and announced a new research result that the scientific name of red sea bream should be changed from 'pagrus major' to 'chrysophrys major'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red sea bream living in the northwest pacific and the golden sea bream in the southwest pacific have very close morphology and genetic information, so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pecies has been raised continuously since the past.
Korea, China, and Japan have used the scientific name of red sea bream as 'pagrus major' since a long time ago, bu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the scientific name of the golden sea bream, which is similar to red sea bream, has been used as 'pagrus auratus', but recently it has been changed to 'chrysophrys auratus'.
Researcher Bae paid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red sea bream also does not belong to the pagrus following the trend of overseas research. From his point of view, the pagrus is distributed mainly in the atlantic and mediterranean.
In this study, Bae analyzed the molecular and skeletal traits of the pagrus, chrysophrys, and evynnis, which are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and discovered the skeletal traits that distinguish pagrus from chrysophrys. He concluded that the red snapper must belong to the chrysophrys, like the golden sea bream, and not to the pagrus.
In addition, although the red snapper and the golden snapper belong to the same chrysophrys, there is a distinct molecular identification key that distinguishes the species, so it was also revealed that each is a different species (major/auratus).
Kim Jin-Koo, advisory professor, said, "Th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morphology in the past is rapidly being reorganized into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molecules. I expect that the research results on the change in the genus name of red sea bream revealed this time will serve as a meaningful opportunity to reinterpret the domestic marine fish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Pukyong Today>